공부/코딩

파이썬 공부 3회차 : 형 변환 함수들과 활용방법

hq999 2023. 4. 27. 15:14
반응형

이전 시간에는 자료형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뤄봤습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배운 자료형을 바탕으로 하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정수로 변환해 주는 int, 실수로 변환해 주는 float, 문자열로 변환해 주는 str

파이썬에는 다양한 자료형 변환 함수가 있지만 오늘은 간단하게 위 3가지 자료형 변환 함수만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형 변환 함수

1. int() 함수 : 정수형으로 변환합니다.

int 함수
ChatGPT에게 질문하고 받은 int() 함수 예시

※실수를 정수로 변환할 때는 float() 함수로 실수형 데이터를 반환한 후 int() 함수로 정수형으로 변환합니다. 이 경우 소수점 아래의 값을 자르고 정수 부분만을 반환합니다.

ChatGPT에게 질문하고 받은 실수를 정수로 변환할 경우의 예시

2. float() 함수 : 문자열 형태의 실수를 실수형으로 변환합니다.

float 함수
ChatGPT에게 질문하고 받은 float() 함수 예시

3. str() 함수 : 숫자나 불리언, 객체 등의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ChatGPT에게 질문하고 받은 str() 함수 예시

 

활용 방법

형 변환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1. 사용자 입력값 처리 :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은 기본적으로 문자열 형태입니다. 이를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거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분석 : 데이터 분석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이때 데이터를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여 분석이나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베이스 연동 :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데이터는 대부분 특정한 자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원하는 자료형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4. 데이터 타입 검사 :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여 원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형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타입을 검사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5. 조건문 처리 : 조건문 처리에서는 불리언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이때 다른 자료형을 불리언 자료형으로 변환하여 조건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자료형 변환 함수 중 3가지와 자료형 변환 함수의 사용 용도에 대해서 포스팅해 봤습니다.

공부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의문점은 그때그때 메모해 두었다가 VS Code를 이용하여 테스트해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습니다.

독학하시는 분들은  ChatGPT에게 질문해 보는 것도 꽤 도움이 됩니다.다음시간에는 연산자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저는 파이썬에 강의 2가지를 들을 예정이고, 간단한 정의를 배우는 강의를 먼저 듣고, 더 자세히 배우는 강의를 들을 계획입니다.

비전공자라 처음부터 자세히 배우기보다는 간단하게 정의를 먼저 배우는 쪽이 끝까지 배우기에 더 좋아 보였기 때문입니다.

☆현재 듣고 있는 강의는 짧고 간단하게 배울 수 있는 강의입니다.☆

 

반응형